테라 생태계에 대해서 '코인 100년 장투'님이 너무 작성을 잘 해주셔서 가져왔습니다.
편안하게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향후 전망이 좋은 생태계라고 하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원본 : https://m.blog.naver.com/jinsol96/222517352803
테라 생태계 프로젝트 총정리 !
2021/9/30에 예정되어있는 테라 메인넷 업데이트인 Columbus-5 이후에 테라 생태계에는 굉장히 많은 변화...
blog.naver.com
============================================================================
일단 용어에 대해서 알고 글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자동화 마켓 메이커(Automated Market Maker)는 시장에서의 매수와 매도를 기존의 호가창 기준으로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성 풀을 이용해 거래하는 것이다
개요
약 30년전 등장한 자동화 마켓 메이커는 백엔드 기술로서 기존 트레이딩 시장에 깊숙히 자리를 잡았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트레이딩에서 새로운 차원의 거래가 가능해짐에 따라 자동화 마켓 메이커도 진화하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24시간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이 필수적이다. [1]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
기존의 중앙화 거래소와는 달리 탈중앙화 거래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간 거래(스왑)가 이루어진다. 때문에 유동성 문제는 탈중앙화 거래소가 성장하기 힘든 문제였으나 자동화 마켓 메이커의 등장으로 탈중앙화 거래소가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기존 방식으로 오더북을 사용해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는 블록체인 기반 유동성 풀에 자산을 미리 예치해 놓는다. 이 유동성 풀에 있는 자산이 자체 교환 기준에 따라 중개인 없이 비수탁형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유동성 풀이 충분히 커야하기 때문에, 유동성 풀에 자산을 예치하는 행위에 대해 인센티브가 주어지며 거래시의 수수료 등이 보상으로 주어진다.
종류
CPMM, CSMM, CMMM은 CFMM(Constant Function Market Maker)의 일종으로, CFMM은 유동성 풀에 있는 토큰 x, y(, z)에 대해 상수 K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교환이 이루어진다.
CPMM(Contant Product Market Maker)
두 토큰 x, y를 예치할 때의 가치 기준 동일한 비율로 예치한다. x*y=k 의 수식으로 토큰을 교환할 수 있다. [6] [7] [2]
CSMM(Constant Sum Market Maker)
두 토큰 x, y를 예치할 때의 가치 기준 동일한 비율로 예치한다. x+y=k 의 수식으로 토큰을 교환할 수 있다. [2] [8]
CMMM(Constant Mean Market Maker)
두 가지 이상의 토큰을 예치할 수 있다. (xyz)^(⅓)=k 의 수식으로 토큰을 교환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CFMM
슬리피지를 낮출 수 있도록 CPMM과 CSMM을 결합 [2]
PMM(proactive market maker)
도도(DODO, 디파이)에서 도입한 것으로, 암호화페 쌍이 하나의 유동성 풀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폐 각각이 개별 유동성 풀을 구성하며, 암호화폐를 스왑할 경우 오라클 솔루션을 기준으로 스왑한다. 사용자가 토큰을 스왑할 경우, 그에 따라 유동성 공급자는 자신이 예치한 풀의 토큰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이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리스크로 작용하며, 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장가격을 조정해서 예치한 풀의 토큰 변동량을 차익거래자들이 거래하도록 한다.
특징
신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트레이딩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가격 슬리피지(예상한 거래 가격과 실제 거래가 성사된 가격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낮은 비용으로 오더북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거래 요청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행매매, 가격 조작, 자전거래 등의 행위를 줄일 수 있다
낮은 슬리피지로 인해 가격의 변동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1]
비영구적 손실(impermanent loss)
자산을 직접 가지고 있을 경우에 비교해 유동성 풀에 자산을 예치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이다. 풀에 예치한 자산과 시장가격이 다를 경우에 발생한다. 유동성 풀은 거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정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차가 발생하며, 이 가격차 발생으로 재정거래가 일어나 유동성 풀의 비율이 조절되게 된다.
재정거래로 인한 수익은 유동성 풀을 제공한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셈이며, 이것이 비영구적 손실이다. [3] [10]
이더리움-다이 유동성 풀에서 이더리움의 가격을 100달러로 보았을때 이더리움의 가격 변화에 따른 비영구적 손실 비율이다.(유동성 제공에 따른 수수료 보상은 제외) [9]
비영구적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
1. 앵커 프로토콜 (Anchor Protocol, ANC)
웹사이트: https://anchorprotocol.com/
카테고리: 저축, 대출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game.dclick.io/ko/posts/@rothbardianism/356s5p (한글)
2. https://medium.com/terra-money/introducing-anchor-25d782cbb509 (영문)
테라 생태계의 너무나도 유명한 디파이 프로토콜인 앵커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크게 2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1. UST 예치하고 연 20% 이자 먹기.
2. LUNA나 ETH 등을 bLUNA, bETH로 담보로 잡고, UST 대출하기.
기저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PoS 블록체인에선 네트워크에 코인을 스테이킹하는 것이 네트워크 안정성에 굉장히 많은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스테이킹을 할 경우 락업이 걸려버리게 되므로, 그 코인을 가지고 다른 활동들을 할 수가 없게 되어 기회비용이 생깁니다.
앵커는 스테이킹된 LUNA나 ETH를 bLUNA, bETH로 유동화 시켰습니다. 즉 스테이킹된 자산의 유동화를 가능하게 됩니다. bLUNA, bETH의 홀더들은 스테이킹 보상을 얻을 수도 있고, 이를 담보로 잡아 UST를 추가적으로 대출할 수 있습니다. 이 대출이자가 UST를 예치한 사람들에게 가게되고 연 20%의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 UST 예치하고 연 20%이자 먹어보자! LUNA, ETH 홀더들은 이를 스테이킹만하지말고, 스테이킹된 자산을 담보로 잡아 UST를 빌려서 다른 디파이 활동들을 해보자!
2. 오리온 머니 (Orion Money, ORION)
웹사이트: https://orion.money/
카테고리: 스테이블코인 저축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2. https://blog.naver.com/sunghong21c/222517650423 (한글)
다른 체인의 스테이블코인 (USDT, USDC, BUSD)등을 예치하여 연 20%에 가까운 이자를 얻을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젝트입니다. 즉 이더리움 사용자들도 테라 생태계의 앵커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연 20%의 안정적인 이자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선 그저 ERC-20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예치하면 이자 20%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 기저에는 다음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예치된 ERC-20 스테이블코인을 EthAnchor 게이트웨이와 Curve Finance를 이용하여 Wrapped UST로 바꾸고 이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테라 네트워크로 옮겨 UST로 변환합니다. 이 UST가 앵커에 예치되어 연 20%에 가까운 이자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요약: 이더리움 네트워크 사용자들도 스테이블코인으로 연 20% 이자 먹어보자! 이더리움 생태계와 앵커프로토콜을 이어주는 프로젝트, 오리온 머니!
3. 테라스왑 (Terra swap)
웹사이트: https://terraswap.io/
카테고리: AMM, DEX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www.youtube.com/watch?v=fxDKqOLfCYM (한글 유튜브)
테라의 오리지널 AMM, DEX 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이더리움에 유니스왑, 솔라나에 레이디움이 있다면 테라엔 테라스왑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산을 거래하고, 유동성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요약: 테라 생태계의 유니스왑!
4. 루프 파이낸스 (Loop Finance, LOOP)
웹사이트: https://www.loop.markets/
카테고리: 커뮤니티, AMM, DEX,NFT marketplace, Wallet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cobak.co.kr/community/3/post/564484 (한글)
2. https://medium.com/terra-money/terra-project-spotlight-loop-finance-7815c8d22e9 (영문)
요약하자면 이것도 테라스왑 같은 AMM, DEX인데 추가로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추가되었습니다. 즉 유니스왑과 스팀잇이 합쳐졌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추후에는 NFT 장터와 지갑까지 product로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Loop finance의 커뮤니티에 글을 작성하고 여러 활동을 하면 현재 LOOPR이라는 토큰을 에어드랍해줍니다. 추후에 LOOPR 홀더들에겐 LOOP토큰이 에어드랍 될 것이고 지속적인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하네요.
요약: 테라 생태계의 AMM, DEX, 근데 커뮤니티를 곁들인.
5. 애스트로포트 파이낸스 (Astroport Finance, ASTRO)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 없음)
카테고리: AMM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astroport.medium.com/astroport-litepaper-1fab783b77b5 (영문)
자세한건 추후에 분석해보겠지만, 다양한 형태의 AMM을 모아둔 프로토콜입니다.
이더리움에는 AMM의 방식에 따라 여러 프로토콜들이 존재합니다. 유니스왑, 커브파이낸스, 밸런서 등 모두 자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AMM 모델이 서로 다른데요, 애스트로포트 파이낸스는 이를 착안해서 자기가 3 모델 모두 사용하겠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디파이 프로토콜에 갈 것 없이 애스트로포트 파이낸스 하나만 이용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AMM 모델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요약: 유니스왑+커브파이낸스+밸런서를 섞어놓은 테라의 AMM 프로토콜
6. 스타더스트 마켓 (Stardust Markets)
웹사이트: https://stardust.markets/
카테고리: NFT marketplace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테라 생태계의 NFT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최근에 핫했던 Galactic Punks NFT를 첫 출시로 시작한다고 하네요. 그외에 제가 직전에 글을 작성한 Levana finance의 NFT도 올라올 것이라고 합니다. 기술적인 강점으로는 Fractional NFT를 지원할 것이며, NFT거래를 오더북형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합니다. 스타아틀라스 NFT 마켓플레이스가 세럼기반의 오더북형태로 거래를 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될 것 같네요. 하지만 오더북 형식의 경우 솔라나에서는 탈중앙 DEX인 SERUM을 기반으로 진행되지만, 스타더스트의 bid는 오프체인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이게 탈중앙인가...?)
요약: 테라 생태계의 오더북형식의 NFT 마켓플레이스!
7. 프로토콜 테일스 (Protocol Tails)
웹사이트: https://talis.art/
카테고리: NFT marketplace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talis.art/manifest (영문)
기존 미술 산업에서 제3자들로 인해 수수료가 많이 따이는데, 이를 블록체인을 통해 해결하려는 프로젝트. 추후에 시간이 된다면 분석 더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8. 포지 프로토콜 (Forge protocol)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없음)
카테고리: NFT marketplace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edium.com/@forgeprotocol/forge-protocol-3d3e5e42ec45 (영문)
테라 생태계의 오픈씨를 꿈꾸는 프로젝트. 하지만 오픈씨에선 NFT의 verification을 중앙화된 주체가 진행하지만, 여기선 DAO를 만들어서 탈중앙으로 진행하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오픈씨의 경우 bid를 걸어두면 걸린 돈은 걸어둔 동안 묶이게 된다는데 (오픈씨를 사용안해봐서 이 부분 오류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포지 프로토콜에서는 이 기간 동안이라도 Anchor나 Nexus protocol에 예치시켜 이자 수익이 생겨 bid가 점점 커지도록 한다고 합니다. 또한 이더리움 NFT를 테라 생태계로 wrap 과정을 통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이더리움 생태계의 NFT를 테라생태계에서 더 싸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겠죠?
요약: 테라 생태계의 NFT marketplace + 이더리움 NFT도 사용가능하다!
9. 원플래닛 (One Planet)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없음)
카테고리: NFT marketplace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edium.com/@oneplanet.nft/decentralized-opensea-at-terra-oneplanet-52cbd7a34d7f (영문)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UI/UX를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NFT의 진입장벽을 낮추는게 목표라고 합니다. 프로토콜 개발자들은 각 프로젝트별로 UI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NFT 발행자들이 NFT를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며, 구매자들은 아주 쉽게 원하는 NFT를 찾아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요약: 진입장벽이 낮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UI/UX의 NFT 마켓플레이스!
10. 미러 프로토콜 (Mirror protocol, MIR)
웹사이트: https://mirror.finance/
카테고리: 합성자산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blog.naver.com/pumpmania0/222242884687 (한글)
블록체인 상에서 주식등의 지수를 추종하는 합성자산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워낙 오래되기도 했고 유명하여 긴 말 설명하진 않겟습니다! 위에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2에 워낙 잘설명되어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의 필요성은, 예를들어 후진국이나 개도국들의 금융소외 계층들이 미국주식을 거래하는게 굉장히 어려울텐데, 블록체인 상에선 주식을 추종하는 토큰(합성자산)을 만들어 국경을 뛰어넘어 이러한 활동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요약: 테라생태계의 합성자산거래 프로토콜!
11. 마스 프로토콜 (Mars Protocol, MARS)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없음)
카테고리: 대출, 레버리지 파밍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www.bao-bab.co.kr/column_board/150859 (한글)
2. https://medium.com/coinmonks/mars-protocol-the-future-of-decentralized-banking-58f53128bd01 (영문)
테라의 대출 프로토콜입니다. 앵커와 비슷하게 돈을 예치하는 사람들과 빌려가는 사람들로 나뉩니다. 또한 앵커와 달리 MARS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무담보 대출이 있지만, 1번 링크를 읽어보면 현재 초기 단계에서는 무담보 대출보다는 레버리지 파밍서비스에 더 가깝습니다. MIR나 ANC를 예치하면 그와 동일한 가치의 UST를 바로 빌리고 유동성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MIR나 ANC의 가격이 오르면 2x 레버리지로 파밍하는 효과가 있지만, 가격이 떨어지게되면 MIR나 ANC가 청산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완벽한 의미의 무담보 대출이라고는 할 수 없겠네요. 더 자세한 내용은 1번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요약: 테라 생태계의 대출 및 레버리지 파밍 프로토콜!
12. 프리즘 프로토콜 (Prism Protocol)
웹사이트: https://prismfinance.app/
카테고리: 파생상품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westiecapital.medium.com/prism-what-the-hell-is-it-b4625cd3b231 (영문)
이런 디파이 프로토콜이 다른 생태계에 있는지 없는지 모를정도로 굉장히 특이한 방식의 프로토콜입니다. 루나를 스테이킹 할시, 이자 수익과 본체의 가격을 분리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프리즘 파이낸스에 LUNA를 제공하면 pLUNA(본체)와 yLUNA(이자수익)으로 토큰을 나눠줍니다. pLUNA는 LUNA 그 자체의 가격만 추종하는 토큰이며, yLUNA는 LUNA를 스테이킹했을 시 얻는 이자를 대표하는 토큰입니다. pLUNA와 yLUNA 모두 만기가 존재할 것입니다 (ex. 3개월, 6개월, 12개월). 만약 LUNA 스테이킹의 이자 수익이 연 10%라고 가정하고 1년만기로 pLUNA와 yLUNA를 생성했다고 합시다. yLUNA는 시간이 지날수록 1년후 가치가 0에 수렴할 것이고, pLUNA는 시간이 지날수록 1년후가 본래 LUNA의 가격으로 수렴할 것입니다. 만기후엔 pLUNA를 LUNA로 1:1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긴 파생상품인 pLUNA와 yLUNA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LUNA는 만기 전까진 항상 LUNA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데 만기에는 pLUNA의 가치와 LUNA의 가치가 동일해지므로 가격 노출에 더 레버리지를 걸 수 있습니다. 또한 LUNA는 스테이킹을 하면 1년간 이자를 나눠받는데, 이를 그냥 지금 땡겨서 받고 싶어서 pLUNA와 yLUNA를 생성해서 yLUNA를 미리 팔아버려 이자수익을 땡겨받을 수도 있습니다. yLUNA를 사는 사람들은 미래의 LUNA 스테이킹 이율이 더 오를 것에 베팅하는 사람들입니다. 그 외에도 아주 다양한 사용법들이 있습니다.
요약: LUNA를 채권같이 다루는 파생상품 프로토콜!
13. 네뷸라 프로토콜 (Nebula protocol)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 없음)
카테고리: ETF, 합성자산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https://twitter.com/nebula_protocol/status/1410443639394873344 (영문)
아직 미디엄 글이나 홈페이지가 없어서 정보가 거의 없어서 추후에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약: 테라생태계에서 암호화폐 및 주식 관련 ETF를 거래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14. 시그마 파이낸스 (Sigma Finance)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 없음)
카테고리: 옵션, 파생상품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edium.com/@sig_finance/sigma-bringing-options-to-terrans-2b37390b269 (영문)
위에서 설명했듯이 미러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상에서 주식과 같은 지수에 추종하는 합성자산을 트레이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하였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현물 매매 이외에도 레버리지, 헷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미러프로토콜 기반으로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젝트가 바로 시그마 파이낸스입니다.
요약: 미러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레버리지 및 헷징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15. 넥서스 프로토콜 (Nexus Protocol)
웹사이트: https://nexusprotocol.app/
카테고리: 디파이 종합관리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www.bao-bab.co.kr/column_board/149914 (한글)
위의 링크에 정말 잘 설명되어있습니다. 테라의 디파이 프로토콜에 예치된 자산을 관리해주고, 청산의 위험을 방지해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테라 생태계의 디파이 신규사용자들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요약: 초보자들도 테라 생태계에서 쉽게 디파이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토콜
16. 팀 쿠지라 (Team Kujira)
웹사이트: https://beta.kujira.app/
카테고리: 청산 관련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edium.com/terra-money/harpoon-protocol-terra-project-spotlight-cb2ec06af8ff (영문)
메이커다오, 앵커와 같은 대출 프로토콜에서는 암호화폐의 시세가 급락하여 자산이 청산될 때 자동으로 청산되는 것은 아닙니다. 바로 위험에 있는 담보가 경매에 붙혀져서 팔려나가게 되는 형식인데요, 대부분 청산 bot들이 이를 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희와 같은 일반 투자자들은 기술적 장벽으로 인해 청산 담보물의 경매에 참여할 수가 없었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젝트입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이렇게 될 경우 경매에 잘 참여만한다면 시세에 비해 담보로잡힌 LUNA를 더 싸게 살 수 있는 듯 합니다)
요약: 앵커 프로토콜에서 담보물 청산 경매에 일반 투자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
17. 스파 프로토콜 (Spar Protocol)
웹사이트: (21.09.26 기준 아직 없음)
카테고리: 탈중앙 자산관리 프로토콜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medium.com/terra-money/terra-project-spotlight-spar-protocol-a96a4c2cd265 (영문)
솔라나에 거의 동일한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바로 solrise finance인데요, 두 가지 참여자가 있습니다. 투자자, 자산관리자. 즉 투자자는 돈을 자산관리자에게 맡기면 자산관리자는 이를 다양한 투자 방법으로 돈을 뿔려주는겁니다. 일종의 탈중앙 펀드매니저, 자산운용사 입니다. 미러 및 네뷸라 프로토콜 기반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요약: 테라생태계의 탈중앙 자산운용사 프로토콜! 누구나 펀드매니저가 되어보자!
18. 스펙트럼 프로토콜 (Spectrum Protocol)
웹사이트: https://spec.finance/
카테고리: Yield optimizer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docs.spec.finance/ (영문)
자산 관리를 쉽게 도와주는 프로젝트입니다. 스펙트럼 파이낸스에 돈을 예치하면 알아서 이자로 나온 수익을 자동으로 재 예치 시켜주거나, LP를 만들어 다시 예치하게 해줍니다. 일종의 솔라나 생태계에 solfarm이랑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약: 테라 생태계의 yield optimizer
19. 아폴로 다오 (Apollo DAO)
웹사이트: https://apollo.farm/
카테고리: Yield Management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www.steemcoinpan.com/hive-101145/@donekim/terra-tefi-apollo-dao (한글)
디파이 사용자들이 만든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로 디파이 사용자들을 위해 투자를 도와주는 일드 어그리게이터입니다. 자동으로 유동성 공급이나 스테이킹이 돌아가도록 지원하며, 미러나 앵커 뿐만아니라 크로스체인 및 복잡한 디파이의 투자 전략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파이 DAO입니다.
요약: 초보자들이 쉽게 디파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Yield optimizer
20. 파일런 프로토콜 (Pylon Protocol, MINE)
웹사이트: https://www.pylon.money/
카테고리: IDO 플랫폼, 구독 서비스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blog.naver.com/jinsol96/222515849827 (한글)
위에는 제가 작성한 링크입니다. 들어가셔서 읽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사용자는 파일런 프로토콜에 UST를 예치하면, 파일런 프로토콜은 UST를 앵커에 예치하고, 이자 수익을 creator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일종의 구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젝트입니다. 현재는 주로 IDO 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앞으로 테라 생태계에 많은 프로젝트들이 Pylon protocol을 통해 출시될 예정이니 꼭 알아 두셔야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요약: 원금의 손해 없이 다양한 서비스 (ex. NFT, IDO)를 누릴 수 있는 프로토콜
21. 스타테라 (StarTerra)
웹사이트: https://starterra.io/
카테고리: IDO 플랫폼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thinking-lab.tistory.com/369 (한글)
테라의 IDO 플랫폼입니다. STT라는 토큰을 예치하여 IDO에 참여할 수 있으며, 신기하게 게임 형태로 IDO 플랫폼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폴카스타터, 다오메이커 등과 같은 테라 생태계의 IDO 플랫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테라생태계에는 파일런 프로토콜과 스타테라 2개의 IDO 플랫폼 밖에 없으니 이 프로젝트도 주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약: 테라 생태계의 IDO 플랫폼
22. 발키리 프로토콜 (Valkyrie Protocol, VKR)
웹사이트: https://valkyrieprotocol.com/
카테고리: 레퍼럴 관리 플랫폼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blog.naver.com/sunghong21c/222516523852 (한글)
기존에 에어드랍 및 IDO 많이 참여하신 분은 아시겠지만 레퍼럴 제도에 굉장히 많은 꼼수가 존재합니다. 다지갑, 다계정 등 하는사람도 피곤하고 프로젝트들도 피곤한데 이를 VKR이라는 토큰의 인센티브 시스템으로 블록체인 상에서 해결해주는 프로젝트입니다. 위의 링크에 정말 잘 설명되어있으니 꼭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요약: 레퍼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프로토콜!
23. 레바나 파이낸스 (Levana Finance)
웹사이트: https://levana.finance/
카테고리: 레버리지 토큰, 선물거래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링크:
1. https://blog.naver.com/jinsol96/222516776754 (한글)
테라 생태계의 레버리지 거래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LUNA 2x 토큰 발행이나, 추후에는 무기한 선물 DEX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위의 링크에 정말 자세하게 설명되어있으니 꼭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약: 테라 생태계의 레버리지 거래를 담당하는 프로토콜!
내용이 좀 많은데 중간중간에 링크를 잘 읽어서 내용을 파악 하시길 바랍니다. 지금은 이해가 안되시겠지만 시간이 흘러서 시장에 테라 생태계가 시작되면 인지되리라 생각합니다.
'Coin_Future > Crypto_Co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inlist Sale : Biconomy Register. (2) | 2021.10.07 |
---|---|
Coinlist : Gods Unchained Sales (2) | 2021.09.30 |
Hi Dollar : 출석형 (2) | 2021.09.12 |
Stacks(STX) : 스택스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