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데이터를 접하면서 어려운 것들이 용어의 이해일 겁니다.

많은 지표들에 이해를 못하고 지나치기 쉽죠, 그러다 보면 멀리하게 되고. 온체인 지표도 어차피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모든 데이터는 과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고 거기에서 유의미한 데이트를 찾는 것이죠.

크립토퀀트의 지표 용어 정리 및 설명이 잘 되어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이 자료를 이해하면 다른 지표들이 자료도 쉽게 접근이 가능할 거 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출처 : 서비나의 암호화폐 공부 공지방 : https://t.me/seobina_announce

========================================================================================

How to read

“On-chain data” at crypto quant

-외환시장에서는 수급데이터만 있으면 수익률을 있다 (은행이 항상 이기는 이유 : 고객의 수급을 알아서)

비트코인도 수요와 공급만 안다면 조금 수월하다

 

<외부지갑에서 거래소로 코인을 유입하는 이유 3가지>

<거래소에서 외부지갑으로 유출되는 시나리오 5가지>

Exchange flow (outflow) : 거래소 유출량

All exchanges inflow mean : 거래소 비트코인 유입 평균량

Exchange whale ratio : 거래소 고래비율

Unexecuted volume index : 거래소 매도 대기물량 인덱스

All miners to all exchanges flows transactions count : 모든 거래소에 대한 모든 채굴자 흐름거래수’

All miner’s outflows : 모든 채굴자의 유출

Miner’s position index (MPI:30-day MA) : 채굴자 포지션 지수(MPI:30 이동평균)

Coinbase premium index :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All exchanges inflow mean(7D MA) 모든거래소 유입평균(7일MA)

Grayscale holdings / GBTC premium 그레이스케일보유 &GBTC 프리미엄

BTC : Fund flow ratio & tokens transferred BTC 자금흐름 비율 이전된 토큰

Stablecoins ratio(usd) : 스테이블코인 보유물량 비율

All stablecoins : all exchanges inflow addresses count 모든 스테이블코인:모든 거래소 유입 주소

BTC:Stablecoin ratio in USD(MACD) USD기분 스테이블코인 비율

Stablecoin supply ratio(SSR) 스테이블코인 공급비율

All exchanges reserve 모든 교환준비금

All exchanges netflow (30-day MA) 모든 거래소 유입과 유출차이 (30일ma)

Aggregated funding rate 모든 거래소에 대한 통합 펀딩 비율

Open interest for all exchanges 선물 미결제약정

Estimated leverage ratio for all exchanges 모든 거래소의 예상 레버리지 비율

Fund flow ratio 자금흐름비율

UTxO (Unspent transaction outputs) 미사용 트랜젝션 출력 . 미지출 거래출력

UTxOs in profit UTXO상의 이익

Coin days destroyed (CDD) 코인소멸일

Mean coin ages(MCA) 미사용거래출력의 나이

Spent output profit ratio (SOPR) 소비된 산출물 이익률

Net unrealized profit and loss (NUPL) 미실현 손익

MVRV Ratio (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시장가치 실현가치 비율

Taker buy sell volume/ratio 테이커 매수매도 거래량/비율

Puell multiple

Stock to flow ratio

NVT ratio

Exchanges addresses count

Active addresses

 

<외부지갑에서 거래소로 코인을 유입하는 이유 3가지>

 

1) 코인을 팔기 위해 - Bearish

현물 거래소로 유입되는 경우 투자자들이 BTC 매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치에는 거래소로 이동하는 소매 구매자의 코인뿐만 아니라 기관 구매자가 제공하는 보관 서비스의 결과도 포함됩니다. 콜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대신 거래소 지갑으로 이동하는 것은 코인을 법정화폐 또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하려는 충동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행동 이유는 대부분 약세 신호를 나타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2) 파생상품시장 거래 - 변동성 리스크

파생 시장 지갑에 코인을 보내는 목적은 파생 시장에서 많은 거래가 발생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거래 활동 증가, 투자자들이 이익을 취하거나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재조정함으로써 변동성 위험을 증가시킬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조치는 파생상품 시장의 코인을 사용하여 / 포지션 모두 있기 때문에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대신 변동성 위험이 증가 것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3) 거래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 중립

때때로 투자자는 스테이킹, 에어드롭 IEO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교환하기 위해 코인을 보냅니다. 경우 가격이나 변동성에 대해 추론할 징후가 없습니다. 다만 에어드랍의 경우 가격 헤지 동기로 인해 펀딩 비율(funding rate),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등의 지표를 고려해야 한다.

행동 이유는 중립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거래소에 외부지갑으로 유출되는 시나리오 5가지 >

코인을 옮기는 수수료가 든다는 사실을 고려할 , 거래소 외부의 지갑은 다섯가지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거래소에서 코인을 보냅니다.

 

1) 구매 코인 이동 - 강세

현물 거래소에서 유출된 경우 투자자들이 BTC 외부로 보내 보관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은 코인을 거래소 지갑에 넣는 대신 거래소에서 코인을 꺼내 보안과 장기 보유를 위해 코인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조치에는 거래소 밖으로 이동하는 소매 구매자의 코인뿐만 아니라 기관 구매자가 제공하는 보관 서비스의 결과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행동 이유는 대부분 강세 신호를 나타내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2) 파생상품 거래에 이상 필요하지 않은 코인 이동

파생 시장 지갑에서 코인을 보내는 목적은 파생 시장에서 적은 거래가 발생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투자자가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익을 얻거나 재조정하는 거래 활동의 결과일 있습니다.

 

3)교환 활동 수준

거래소로의 유입 또는 유출의 긍정적인 추세는 전체 거래소 활동의 증가를 나타낼 있으며, 이는 점점 많은 사용자가 거래소를 거래에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아마도 거래자들의 감정이 낙관적인 순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 해석에 따르면 반대는 약세 감정을 의미 합니다.

4)변동성 예측

BTC In/Outflow Mean(MA7) 이전 가격 변동성 강도를 설명하며 , 이는 현재 위치가 현지 최고점 또는 최저점일 있음을 의미할 있습니다. 이는 유입의 상당 부분이 크립토퀀트 연구팀이 분석을 하는 거래소 거래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차익거래 전략의 결과로 설명할 있기 때문이다.

5)시장 동향 예측(강세 또는 약세)

"Exchange Activity" 해석에 따르면 데이터의 과거 추세를 있는 알려진 기술적 지표 하나인 데이터에 이동 평균을 적용하여 모든 거래소에서 유입 모든 거래소에서 유출 추세를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정확한 변곡점을 보기 위해 다중 이동 평균을 적용합니다.

유입 유출 추세는 의미있는 수의 거래소가 활성화 된 지난 3 동안의 강세 또는 약세 감정을 대략 설명하여 "거래소 활동"해석을 지원

 

6) 내부 지갑 이동

많은 양의 비트코인이 거래소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내부 지갑 변경일 수도 있습니다. 유출된 느낌을 주지만 대신 동일한 거래소에 머무르는 동일한 비트코인입니다.

 

-exchange flow (outflow) :

거래소 유출량. 기관들이 코인베이스 OTC desk(장외거래) 혹은 Coinbase Prime(브로커리지 서비스) 통해서 미국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다는 시그널.

 

Sell-side liquidity crisis 현상 : 코인베이스(거래소)에서 대량의 비트코인이 빠져나가게 되면, 장내에 거래할 있는 코인들이 부족하게 되어 잠재적인 매도압력이 감소하게 ,

이러한 미국 기관들의 비트코인 구매 수요 덕분에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지난해 3월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왔고, 매도압력이 감소되어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

 

Whale dumping

 

<고래덤핑 Whale dumping - 고래의 상당한 비트코인 ​​예금은 일반적으로 고래 투기를 나타냅니다.>

  

-단기적인 조정 포착방법

단기적인 조정은 보통 거래소에 입금되는 비트코인의 물량의 강도를 보고 판단하기 좋다

고래들이 거래소에 입금되는 것을 있는 가지 지표

 

1.All Exchanges Inflow Mean(거래소 비트코인 유입 평균량)

2.Exchange Whale Ratio(거래소 고래비율)

 

거래소에서 얼마나 많은 코인이 나왔는지

(유입된 흐름을 찾으려 )

 

1. all Exchanges Inflow Mean(거래소 비트코인 유입 평균량)

 평균적으로 많은 액수의 비트코인이 입금되면 , 상대적으로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다

 

 

2.Exchange Whale Ratio(거래소 고래비율)

 

 

^ 하락장 고래비율

거래소에 입금되는 상위 10건의 비트코인 입금량을 전체 입금량으로 나눈 것입니다

해당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72시간 이동평균선으로 보면, 거래소 고래 비율이 85% 이상을 유지할때 시장이 하락장이라고 판단.

 

고래가 거래소에 비트코인을 입금하는 이유 : 1. sell 2.지갑이동

 

2020 3월에는 거래소 고래비율이 꾸준히 85% 이상이었고, 가짜 상승장(Fake bull)이었습니다

상승장에서는 보통 85% 이하를 유지

현재 데이터인데요, 과거에 비해서는 고래 비율이 높지만 2020 급락 전 처럼 우려할만큼의 수치는 아닌 같습니다.

앞서 언급한 2비트코인과 85%라는 기준 숫자는 수학적으로 계산된 것이 아니고, 테크니컬하게 예를 것이기 때문에 기준은 본인이 스스로 정하면 좋을 같습니다.

+ Recent posts